티스토리 뷰
http://jmdrive.tistory.com/trackback/44
◎ 구매
- 신규 공급사를 찾아 그 중에서 가장 회사에 이득이 되는 업체와 협상, 가격 확정, 구매 조건을 결정
- 원가관리 및 분석, 협력사관리 및 평가, 협상, 구매계약, 시장분석, 회계지식 및 구매시스템의 이해와 활용, 자재재고관리, 물류관리 직무 역량 필요
- 협력사와는 회사의 대표로 사내에서는 협력사의 대표로 의사소통을 하며 마케팅, 연구소, 공장, 해외법인 등의 의견 조율 역할 수행
구매인의 역량: 분석력
1. http://blog.naver.com/ds1clf/150115768870
(요약)
구매부서는 영업, 생산, 인사 등의 부서 중 가장 변화가 심한 부서입니다. 최근 구매 부분의 비중과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구매의사결정이 기업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공급자를 잘 관리하는 것이 기업의 성공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구매부서업무는 타 부서의 업무에 비해 변화에 영민하게 반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원가절감(옛날) 가치창출(최근)을 위한 부서, 원자재 가격의 정확한 예측과 타 부서와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한 부서
철저한 분석력으로 공급자 시장분석으로 경쟁사보다 좋은 조건 또는 장기계약을 실시하여 자재 품귀현상 등의 다양한 상황에 대비
가능성 있는 공급자를 직접 육성하여 우리의 기회로 만듦
공급자의 기수과 가치를 구매부서가 공급자를 통한 혁신, 신제품 개발에 공급자 공헌을 유도
개방형 혁신을 함
분석, 연구, 도전을 통한 적극적인 구매활동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구매환경 분석과 관리를 통하여 효과적인 공급자 시장을 이용해 기업의 경쟁력에 도움을 주는 활동(원가절감) 우리의 신제품에 얼마나 새롭고 참신한 공급자 기술과 혁신이 공급되었는가, 그리서 우리의 신제품이 시장에서 성공을 만들어 내는가(회사의 성장과 성공에 공급자를 이용한 기회 극대화)
구매인의 역량: 협상력
2. http://blog.naver.com/ckdtprlvkdnj/80207836741
(글요약)
협상, 관리력, CPSM
구매인의 역량: 통찰력, 외국어능력
3. KOICA 취업지원센터 직무설명
구매 시장을 보는 눈과 협상능력을 갖춰라~!
◎ 업무구분
구분
담당업무
구매 규정 담당
- 구매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가이던스 및 규정집을 관리 및 개정하는 업무
- 구매규정을 실제 Practice의 변화에 맞게 수시로 업데이트
- 수출입 관련 국내법의 변화가 있을 시에 이를 반영하는 작업
전략구매
- 각 부서별 니즈를 컨트롤하는 행위로 원가절감을 위한 기기 대체 및 유사한 니즈가 있는 다른 나라의 바이어들과 연계하여 더욱 큰 원가절감을 위한 아이디어를 반영
조달구매
- 구매부의 가장 일반 업무 영역으로 회사의 니즈를 받아 검증 및 컨트롤한 후 구매
- 니즈가 정말 필요한 것인지를 확인 한 후, 다른 곳에서 조달할 수 있는지 등의 모니터링 및 컨트롤
계약서 작성
- 기계적, 반복적인 모든 거래 행위의 작은 문제라도 가장 먼저 확인하는 계약서의 작성이 중요
구매교육
- 타 부서 직원들과 구매 요원들을 교육하는 업무로 구매는 물건을 사는 행위이지만 회사의 비용지출을 컨트롤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
- 작은 돈이라도 회사의 기준에 맞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직원들을 교육함
항목 |
담당부문 |
주요 사항 |
|
구입요구 인식 |
수요부서 |
자재의 제조 방법, 규격, 품질 등을 결정하는 주무부서는 설계·생산기술부문, 수요량 결정 |
|
공급자선정 |
견적의뢰 |
구매 |
적정한 잠재 거래처 의뢰 |
견적검토 |
사용자재, 작업시간 등에 대하여 생산기술 부문과 논의 |
||
구입가격 및 구입처 결정 |
품질, 납기, 가격의 3요소의 만족도, 적정한 공급원확인 |
||
발주수속 |
주문서발행, 도면, 사양, 치공구 대여 |
||
사후관리 |
납기, 품질에 관한 계약준수 확인 및 이행 촉구 |
||
납입 |
납입 물품 수령 |
||
검사 |
검사 |
계약 품질 확인 |
|
입고 |
물류 |
검수 및 입고 수속 |
|
지불 |
경리 |
납입 물품에 대한 지불 |
◎ 자격요건
1. 외국어 사용능력(영어+기타 특수어 사용)
지원 시 전공은 무관하지만 실제 현업에서는 언어 전공자들이 많아서 각 언어권 별로 업무를 담당하므로 해외 구매를 담당한다면 외국어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 Global 구매 활동을 위해서 영어, 중국어, 일어 등의 다양한 어학 능력이 필요
2. 협상능력
어떻게 상대방을 설득하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며 각 회사마다 얼마에 어떻게 구매했는지는 비밀리에 이뤄지는 사항일 정도로 차이가 발생하며 구매 담당자의 역량에 따름. 많은 사람들과 관련을 맺고 업무가 진행되므로 다양한 관계에서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
3. 시대 흐름과 시황을 읽어내는 눈 / 데이터를 통한 분석 능력
협상 시 활용되는 중요한 부분으로 시황 파악 되어야 상대를 설득, 신뢰하게 만들 만한 자료 제시가 가능하며 품목별 수급 및 가격 변동 사이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구매 원가를 분석할 수 있어야함
◎ 컨설턴트 TIP
1. 전망
입사 후 2~3년차 까지는 자신이 맡은 분야의 특성과 시장상황에 대해 지식을 습득하는 단계로 생산공정 및 생산특성에 대해 학습하며 구매 전문가로써의 기본 능력을 키우게 됨. 자사의 생산 공정 별 특징에 대해서도 학습. 이 후 자신이 맡은 분야의 전문가로서 활동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의 흐름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직관력과 자재 발주 시기와 수량에 대해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판단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
2. 구매 업무의 장점
고객의 Needs에 맞는 대응을 위한 최적의 Supplier SCM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원을 수행하면서, 이를 위해 끊임없는 분석 및 타 부서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음. 더불어 의사결정이 수반하는 과정을 거치며 각 Item의 특성과 생산 공정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고 이는 구매 분야 관리자로서 성장해나가는 밑거름이 됨. 또한 영업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을 이해하고 생산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실제 생산 공정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어 해당 산업 전반을 꿰뚫는 혜안을 가질 수 있음. 구매직무의 전문가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회사의 전반적인 경험을 몸으로 체험할 수 있으므로 경영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요건들을 갖출 수 있게 됨. 다양한 경험을 통해 각 업무 특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되어 영업 / 생산 부서 등 타 업무 전문가로서의 성장도 용이하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구매 업무의 장점
3. 실무 3년 후, CPSM(구매∙공급전문가) 자격증을 취득하라
- 국제공인 구매∙공급관리 전문가 최고의 자격증인 CPSM(Certified Professional in Supply Management)를 취득하면 경력에 도움이 됨. CPSM은 美공급관리협회(ISM;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에서 주관하는 국제공인 구매∙공급전문가 자격증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는 구매∙공급분야 자격증 중에는 최고의 자격증으로 인정하고 있음
-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총 3가지 모듈에 대한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3년 이상의 해당분야 실무 경력 요구. 구매∙공급 전반에 걸친 이론 습득과 실제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함. CPSM을 취득하면, 경력이나 해당 분야의 능력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높은 연봉과 인센티브를 보장받을 수 있음. 실제로 많은 기업들은 CPSM 취득자에게 자격수당을 지불하고 있으며, 사원을 선발할 때 자격 취득자의 능력을 인정하여 가산점을 부여. CPSM은 국제공인 자격증으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해외 구매업무를 주로 하고 있는 담당자라면 해외거래 시 협상 등에서 명함에 있는 CPSM을 보고 전문적인 능력을 인정받음
- CPSM자격 취득요건 : CPSM자격은 4년제 학사학위 소지자로 구매, 공급, 물류, 유통 등 관련분야 3년 이상의 업무경력을 갖춘 자에게 주어지며 기존 C.P.M.자격을 갖고 Bridge 시험에 합격한 자에게도 CPSM자격이 새로이 부여
교육기관 |
교육장소 |
홈페이지 |
서울과학종합대학원(aSSIST) |
서울 서대문 |
www.assist.ac.kr |
한국구매전문가 협회 |
서울 서초구 |
www.ismkorea.org |
한국생산성본부 (KPC) |
서울 광화문 |
www.kpc.or.kr |
IEMS연구센터 |
서울 강남, 세종대학교 |
www.iems.co.kr |
한국표준협회 (KSA) |
서울 가산디지털단지 |
www.ksa.or.kr |
'업무필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 기업 경쟁력 창출, 구매에서 찾는다 (0) | 2016.12.02 |
---|---|
[analysis]구매혁신 전략①/구매부서가 회사의 이익창출 부서인가 (0) | 2016.12.01 |
구매 직무소개 (0) | 2016.12.01 |
기업의 경쟁력 좌우할 구매부서의 혁신에 주목하라 (0) | 2016.11.30 |
경도와 강도 (0) | 2016.11.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탄핵
- 혁신
- 몰라봐서
- 경비
- 최순실
- 원가
- 역할과 책임
- 村☆6高難度:終焉を喰らう者
- 원가절감
- 구매
- Role & Responsibility
- 불출
- 일본어뉴스
- 투입원가
- 노무비
- 공문서순번
- MHXX
- ユクモ村の貢献度1500以上
- 일본어공부
- 수입제세
- 예정원가
- 일본뉴스
- 박근혜
- 공문서순서
- 일본어청해
- 일본어
- 見切り
- 達人
- 일본어듣기
- 사무관리규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