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분석
▣ 원가분석
1)원가분석의 목적
구매품목에 대한 구매원가의 분석은 시장가격의 적정성을 판단하고 적정한
구매가격을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나아가 구매원가는 구매예산 편성,
매출원가 산정, 판매이익 계산, 재무제표 작성 등에 중요하다.
2)원가의 구분
① 직접비와 간접비
㉠ 직접비 : 제조과정에서 단위제품에 직접 투입된 비용으로 제품단위 원가로 직접 배분할 수 있어 직접원가라고도 한다. 이것은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경비로 구분된다.
㉡ 간접비 : 다수 제품의 제조과정에 공통적으로 소비된 비용으로 생산된 제품에 인위적으로 적당하게 배분하는 간접원가이다. 이것은 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간접경비로 구분된다.
② 원가의 3요소
㉠ 재료비 : 제품 제조를 위하여 투입되는 재료의 원가로서 원부재료, 매입부품, 소모품비 등이 대표적이다.
㉡ 노무비 : 제품제조에 투입된 노동력의 대가로서 임금, 급료, 잡급 등이다.
㉢ 경비 : 제품 제조를 위하여 재료비와 노무비 이외에 계속적으로 지출된비용으로서 전력비, 운반비, 감가상각비, 보험료, 연구개발 비, 세금과공과. 지급수수료 등이 대표적이다.
3) 원가의 구성
㉠ 직접원가 =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직접경비
㉡ 제조원가 = 직접원가 + 제조간접비
㉢ 판매원가 = 제조원가 + 판매 및 일반관리비
㉣ 매출가 = 판매원가 + 이익
4)원가의 분류
① 표준원가 : 표준원가는 공정상에서의 어떠한 원가손실도 가정하지 않으며, 최적의 제조환경에서 설계도에 따라 가장 이상적으로 제조과정이 진행된경우에 구성되는 이론적인 원가이다.
② 예정원가 : 예정원가는 과거 제조경험을 고려하고 향후 제조환경을 반영하여 미래 산출될 것으로 기대하는 추정원가이다. 공급자가 입찰 또는 견적에서 제시하는 가격은 이 예정원가를 기초로 한다.
③ 실제원가 : 실제원가는 완제품의 제조과정에서 실제 발생한 원가이다. 예정원가는 예상원가이나 실제원가는 확정원가이며, 일반적으로는 실제원가를원가로 통칭한다. 실제원가는 표준원가와 비교, 분석되어 원가개선활동의 평가요소로 활용되어진다.